반응형

전동킥보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인기가 급상승한 이동수단 중 하나입니다. 길거리에서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고, 공유서비스 또한 활성화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죠. 하지만 그만큼 관련사고도 급증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10대 청소년들의 경우 안전장비 없이 탑승하다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죠. 그래서 오늘은 전동킥보드 관련 사고들을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는 방법

 

전동킥보드 어떤 점이 위험한가요?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은 헬멧 등 보호장구 착용없이 타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도로교통법상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되기 때문에 자전거도로 주행이 불가능하며, 인도에서는 보행자와의 충돌위험이 매우 높아 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차도에서만 타야 하는데, 이때 자동차 운전자 입장에서는 갑자기 튀어나온 전동킥보드가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죠. 실제로 지난 5년간(2015~2019) 발생한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1,797건 중 799건(42%)이 머리·얼굴 부위를 다치는 상해사고였습니다. 게다가 킥보드 특성상 바퀴가 작고 무게중심이 높기 때문에 넘어질 경우 중상 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점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전동킥보드 헬맷

 

 

전동킥보드는 원동기면허 이상 소지자만 운전가능

원동기 장치 자전거란 125cc 이하의 이륜자동차 또는 배기량 50cc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를 말합니다. 즉, 전동킥보드는 자동차관리법상 원동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만 16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취득할 수 있는 2종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 이상의 자격증이 있어야 운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도로교통법 제80조에 따르면 무면허운전시 10만원 이하의 벌금 및 구류에 처해질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전동킥보드 사고 시 보험처리

전동킥보드 역시 다른 차량과 마찬가지로 차대차 사고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과실이 있다면 대인/대물 모두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피해자가 가입한 보험사로부터 직접 청구권을 행사하거나 가해자가 가입한 보험사로부터 구상권을 청구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내가 가입한 보험사가 어디인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전동킥보드 안전수칙과 위반 범칙금

안전하게 킥보드를 타기위해 지켜야 할 안전수칙과 범칙금 등에 대한 정보는 내용이 길어서 따로 포스팅을 해놓았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2022.12.17 - [분류 전체보기] - 전동킥보드 안전수칙과 위반 범칙금

 


최근 들어 전동킥보드 대여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편리함과 재미를 추구하는 젊은 층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 제도적 정비가 미흡해서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욱더 강화된 규제안이 마련된다고 하니,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된 교육과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올바르게 이용한다면 좀 더 안전한 문화가 정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