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신발을 확인하는 것도 그중 하나입니다. 신발의 뒷굽이 닳은 모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어떻게 걷는지, 어떤 질환 위험이 있는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유심히 관찰해 바른 자세로 걷도록 노력하고, 특정 질환이 의심된다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받아야 합니다.

신발 뒷굽으로 알수 있는 건강 상태



1. 신발 뒷굽 바깥쪽이 닳았다면 팔자걸음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팔자걸음은 발끝을 15도 정도 바깥으로 벌려서 걷는 자세를 말합니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바깥쪽 연골이 손상되면 팔자로 걷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척추후만증이 심해도 걸을 때 허벅지 외부 근육이 짧아지고 약해져 팔자걸음으로 이어집니다. 골반 근육이 약한 경우 고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이나 골반을 받치는 근육이 약해져 고관절을 움직일 때 힘이 부족해져 팔자걸음을 걷게 됩니다.

 


2. 굽이 안쪽이 닳았다면 고관절 문제나 평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굽 안쪽이 유독 닳은 사람은 안짱걸음을 걷습니다. 안짱걸음은 팔자걸음과는 반대로 두 발끝을 10~15도 정도 안쪽으로 향해 걷는 자세입니다. 옆에서 바라보면 상체는 앞으로 기울고 하체는 약간 뒤로 빠져 엉거주춤해 보입니다. 안짱걸음의 주요 원인은 팔자걸음과 마찬가지로 고관절과 퇴행성관절염입니다.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 부분이 무너져 바닥에 닿는 평발도 안짱걸음을 걸을 수 있습니다. 발 안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려 발목이 안쪽으로 휘어지기 때문입니다.

 



3. 한쪽 신발 굽만 닳았다면 틀어진 자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척추측만증이나 골반 틀어짐으로 인해 양쪽 다리 길이 차이가 발생한 것입니다. 선천적으로 다리 길이가 다른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척추, 골반, 고관절, 무릎관절 틀어짐에 따른 후천적 요인입니다. 양쪽 다리 길이 차이는 절뚝거림과 같은 보행 문제를 가져올 수 있으며 무릎이 휘어져 휜 다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정렬 증후군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척추와 골반의 균형이 흐트러져 근골격계 통증과 관절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며, 발걸음부터 시작해 바른 자세와 걷기 습관을 만들고, 필요하다면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